728x90
타입변환(Data Type Conversion)
자동타입변환(Promotion)
double a = 3.0F;
//3.0F의 값은 자동으로 double타입으로 변환
float a = 3.0; -> 에러에러
// 3.0은 douvle타입인데 이 값을 표현 범위가 좁은 float에 넣으려고 하기 때문에 오류발생
자동 타입변환의 원칙
👉표현범위가 좁은 데이터 타입에서 넓은 데이터 타입으로의 변환만 허용된다는 것!
위 코드에서 double타입이 float타입보다 더 많은 수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
타입을 변경해도 정보의 손실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타입 변환이 된다.
int a = 3;
float b = 1.0F;
double c = a + b;
int 와 float가 붙으면 int는 float로 자동으로 타입변환이 된다.
그래서 double c = a + b; 에서 a + b는 float타입이다.
하지만 c의 타입은 double이기 때문에 a + b의 값이 double이 되어야되기 때문에 float가 double로 타입 변환을 해야한다.
double이 float보다 더 많은 수를 담기 때문에 정보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.
강제타입변환(Casting)
float a = 100.0; // 에러에러
int b = 100.0F; // 에러에러
float a = (float)100.0; //100.0이 double타입이기 때문에 그 앞에 (float)로 타입 변환
int b = (int)100.0F; // 100.0F가 float타입이기 때문에 그 앞에 (int)로 타입 변환
double pi = 3.14;
int pie = (int)pi;
//실수 타입 double은 int로 자동타입변환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강제로 타입 변환을 시켜줘야 한다.
//int는 정수 타입이기 때문에 3.14가 int 안에 들어가면 .14는 사라지고 3만 출력된다.
큰 크기의 타입은 작은 타입으로 변환을 할 수 없다.
하지만 강제로 변환을 할 수 있는데 이 때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.
(3.14를 int 안에 넣으면 3만 나온다)
강제 타입변환 하는 법
👉변환시키고자 하는 데이터의 앞에 괄호()를 넣고, 그 괄호 안에 변환할 타입을 적으면 된다!
자바에서는 이 괄호를 타입 캐스트(type cast) 연산자라고 한다고 그렇다고 한다.
'👨🏻💻Computer Science > 🙂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ArrayList 한바탕 휩쓸고가기 (0) | 2022.12.11 |
---|---|
[Java] 조건문과 반복문 if for (0) | 2022.12.09 |
[Java] substirng 문자열 자르기 대작전 (1) | 2022.12.07 |
[Java] 연산자(Operator) 한 번에 정리하기(+-=:><*%!==?/) (0) | 2022.12.05 |
[Java] 변수 (variable) & 기본 타입 (primitive type) (0) | 2022.12.03 |